섹션
이미지

말레이시아 정부, 실종 여객기 납치...확정적

최근 남중국해에서 사라진 여객기 실종사건을 수사 중인 말레이시아 당국은 비행경험이 있는 1명 이상이 여객기를 납치했다는 결론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AP통신에 따르면, 말레이시아 정부의 한 관리는 15일 기자들에게..
현재 분쟁 중인 우크라이나와 크림 반도의 위치 (붉은색 표시) 크림은 동쪽의 러시아가 흑해로 나가는 길목에 있다. || 위키백과

뉴욕증시, 우크라이나 사태로 하락세 마감

우크라이나 사태에 대한 우려로 뉴욕증시가 하락세로 마감했다. 14일 (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43.22포인트(0.27%) 내린 16,065.67에서 거래를 마쳤다. 스..

러시아 VS 우크라이나… 실제 전투력 차이는?

우크라이나 과도정부의 투르치노프 대통령은 11일 크림 사태를 비판하면서도, 크림 반도에 대한 군사 작전은 자제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그는 그 이유로 우크라이나 동부에 면한 러시아와의 국경 지대 병력을 빼내기 어렵다는..
재닛 옐런 미 연방준비제도(연준) 의장

3월 미 연준 양적완화 추가 축소 가능성 크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이하, 연준)의 양적완화 축소의 가능성이 3월에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8일(현지시간) "2월 고용동향이 호조를 보였다"면서 "연준이 오는 18일과 19일 열리는 3월 ..
이미지

우크라이나, 미-러 군사긴장 고조

우크라이나 크림반도 주변의 미국과 러시아의 군비 보강과 군사 훈련으로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7일 터키 현지 언론은 흑해로 항진 중인 미국 핵추진 미사일 구축함 'USS 트럭스턴'은 7일 터키 보스포루스 해협을 통..
전국인민대표대회 제12기 2차회의 개막에 앞서 시 주석과 리 총리를 비롯한 중국의 지도부가 쿤밍테러 희생자들을 위로하는 묵념을 하고 있다.

중국, 올해 경제성장 목표 7.5% 유지

중국 정부가 올해 성장목표를 7.5%로 유지함으로서, 안정과 성장을 이어나가기로 했다. 리커창(李克强) 총리는 5일 베이징(北京)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제12기 2차회의 업무보고에서 중국의 올..
이미지

러시아, 우크라이나 크림반도 침공

우크라이나 남쪽 크림자치공화국에 러시아가 2천명의 병력을 추가 파견하는 등 군사적 움직임을 확대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이 지역에 일촉즉발의 위기감이 조성되고 있다. 러시아는 크림반도에서의 군사 행동이 러시아와 우크라..
중국 상하이 양산항

중국, 미국 제치고 세계 1위 무역대국 되다

중국이 미국을 제치고 세계 1위 무역대국이 되었다. 중국 국가통계국이 펴낸 2013 '국민경제 및 사회발전통계'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지난해 상품(화물) 무역총액이 전년도에 비해 7.6% 증가한 4조 1천600억 ..
23일 호주 시드니에서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와 글렌 스티븐스 호주중앙은행 총재가 양국 중앙은행간 자국통화 스와프 계약에 서명한 뒤 악수하고 있다.

한-호주 5조원 통화스와프 체결과 그 의미

한국과 호주가 5조원 상당의 통화스와프 협약을 체결했다.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 참석차 호주를 방문 중인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는 23일 글렌 스티븐스 호주 중앙은행 총재와 한화 5조원 상..

뉴욕증시 소폭 하락, 유럽증시 상승

21일(현지시간) 뉴욕증시는 주택 지표 부진에 소폭의 하락세로 마감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29.93포인트(0.19%) 떨어진 16,103.30에서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

미국 연준, "한국 신흥국 중 취약도 가장 낮다"

지난 11일(현지시간) 미국 연방준비제도(이하, 연준)는 신흥국들의 취약도 등을 분석해 의회에 제출한 통화정책보고서(Monetary Policy Report)에서 한국과 대만을 취약도가 가장 낮은 국가로 분류하고 원..

피치, 정국 위기 우크라이나 신용등급 두단계 강등

국제 신용평가사인 피치(Fitch)가 야권의 반정부 시위로 위기를 겪고 있는 우크라이나의 신용등급을 'B-'에서 'CCC'로 두 단계 강등한다고 8일(현지시각) 발표했다. 다른 국제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