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네이버, 카카오 로고

네이버 vs 카카오 간편결제 전쟁 우위는?

국내 양대 플랫폼인 네이버와 카카오의 간편 결제 서비스 전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23일 앱·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굿즈(이하 와이즈앱)의 '네이버페이·카카오페이 앱 사용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3분..
추경호 부총리

한·영, ODA 사업 발굴 등 '전략적 개발 파트너십' 체결

한국과 영국이 유상·무상원조 등 공적개발원조(ODA) 사업 발굴에 협력기로 했다. 23일 정부에 따르면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박진 외교부 장관은 21일 영국 런던에서 데이비드 캐머런 영국 외무장관과 ..
대기업

KDI, 리쇼어링 기업 순수 국내기업보다 고용창출 저조

해외로 진출했다가 국내로 돌아온 리쇼어링 기업은 규모가 작거나 생산성이 낮은 특징이 있고 비슷한 규모의 순수 국내 기업보다 고용 효과도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문에 기업의 리쇼어링 여부와 관계 없이 국내..
수출

정부, 내년 76개 품목에 할당관세 "신성장 뒷받침"

내년도에는 식품·산업 원재료 76개 품목에 대해 낮은 할당관세가 적용된다. 이를 통해 산업경쟁력을 강화하고 물가 부담을 낮추겠다는 취지다. 다만 가격이 안정됐거나 자유무역협정(FTA)을 활용할 수 있는 품목들을 제..
자영업자

자영업 다중채무자 연체 13조원 역대 최대

여러 금융기관에서 최대한 대출을 끌어모아 코로나19 사태와 경기 부진을 버텨온 자영업 다중채무자들이 높은 금리 속에 속속 한계를 맞고 있다. 갚지 못할 위기에 놓인 이들의 대출 규모가 1년 새 2.5 배로 뛰어 13..
부동산세

부동산 공시가격 현실화율 동결, 이유는

내년 부동산 공시가격 현실화율이 동결된다. 21일 국토교통부는 중앙부동산가격공시위원회에서 '부동산 공시가격 현실화 계획 재수립 방안'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공시가격은 재산세, 종합부동산세, 건강보험료 등을 부과..
부산항 신선대·감만 부두

수출 2.2% 증가…이달 흑자 전환 예상

11월 중순까지 수출이 전년동기 대비 2.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관세청에 따르면, 11월 1∼20일 수출액(통관 기준 잠정치)은 337억9000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2.2% 증가했다. 조업일수를 고..
한국은행, 2023년 3/4분기 가계 신용 설명회

가계빚 다시 역대 최대, 3분기 주담대 17조원 증가

올해 3분기(7∼9월) 전체 가계 신용(빚)이 전 분기보다 14조원 이상 늘며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고금리에도 부동산 경기 회복과 함께 주택담보대출이 17조원 이상 늘었으며 여행 등이 늘어나면서 카드 사용 규모도 ..
부동산

내년 공시가격 현실화율 동결…보유세 부담도 그대로

정부가 내년 부동산 시세 대비 공시가격 비율(공시가격 현실화율)을 올해 수준에서 동결하는 쪽으로 방침을 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21일 "정부가 공시가격 현실화 로드맵을 재검토하고 있지만, 지금 바로..
수출

11월 중순 수출 2.2%↑ 반도체도 플러스 전환되나

11월 중순까지 수출이 1년 전보다 2.2% 증가했다. 반도체 수출도 같은 기간 2%대 증가하면서 이달 플러스(+) 전환의 가능성이 커졌다는 기대감이 나온다. 21일 관세청에 따르면 11월 1∼20일 수출액(통관 기..
수출

산업연 "내년 경제성장률 2.0%"…수출 5.6% 증가 전망

국책 연구기관인 산업연구원은 20일 '2024년 경제·산업 전망' 보고서에서 내년 한국의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올해보다 2.0%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정부 전망치(2.4%)는 물론 한국은행과 한국개발연구원(..
라면

K-라면 수출 올해 1조 첫 돌파 9년째 사상 최대

올해로 출시 60주년을 맞은 라면의 수출액이 사상 처음으로 1조원을 넘어섰다. 라면 업체들이 외국 공장에서 생산해 현지에서 직접 판매하는 것까지 고려하면 사실상 글로벌 수출액은 2조원을 웃돌 것으로 추정된다.20일 ..
기획재정부

정부 "경기 회복 조짐" 진단…생산·수출 긍정적 신호

정부가 한국 경제에 대해 서서히 경기 회복 조짐이 보인다고 진단했다. 제조업 생산, 수출 회복을 긍정적 신호로 해석했다. 고금리 장기화 우려와 러·우크라이나 전쟁, 중동 정세 불안에 따른 원자재 가격 변동성 등에 ..